티스토리 뷰

목차



     

    케이패스와 알뜰교통카드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어떤 점에서 다른지 바로 확인하세요.

     

     

     

     

     

     

     

     

     

     

     

     

     

     

     

     

    적용범위

    케이패스 : 전국 대중교통 이용 가능(일부 지자체 제외)

    알뜰교통카드 : 주로 서울시 및 수도권 지역 대중교통 이용 가능

     

     

    할인 방식

    케이패스 : 이동 거리와 무관하게 교통비 지출 금액에 비례하여 직접 환급

    알뜰교통카드 : 후불식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사용 시 할인액이 자동 차감 또는 캐시백 형태로 지급

     

     

    적립 및 환급

    케이패스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적립금 환급

    알뜰교통카드 : 별도의 적립 및 환급 기준이 없음

     

     

     

     

     

     

    대상

    케이패스 : 19세 이상 국민 누구나 이용 가능

    알뜰교통카드 : 서울시 거주자 또는 서울시 소재 직장인 대상

     

     

     

    시행시기

    케이패스 : 2024년 5월 1일부터 시행

    알뜰교통카드 : 2024년 4월 30일 종료 

     

     

    요약하면, 케이패스는 전국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직접 환급 방식의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반면, 알뜰교통카드는 주로 수도권 지역 대중교통 이용에 대한 간접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또한 케이패스는 국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제도인 반면, 알뜰교통카드는 2024년 4월 30일 종료될 예정입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카드입니다. 월 6만 2천 원을 내면 서울시 내 모든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의 일환입니다.

     

    기후동행카드와 케이패스, 알뜰교통카드는 각각 다른 할인 혜택과 적용 범위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교통 이용 패턴과 거주지에 따라 가장 적합한 카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필요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여 교통비 절감의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반응형